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Java3

[Java] 논리연산자 논리연산자 : 둘 이상의 조건을 결합하여 하나의 조건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연산자. 주어진 논리식을 판단하여 참(true)와 거짓(false)을 판단한다. AND ( && ) : 두 피연산자 모두 참일 시 true 반환. 둘 중 하나라도 거짓일 경우 false 반환.OR ( || ) : 두 피연산자 중 하나라도 참이면 true 반환. 둘 다 모두 거짓일 경우 false 반환.NOT ( ! ) : 피연산자의 논리적 부정 반환. 참이면 거짓을, 거짓이면 참을 반환.  사용 예제1) text가 null이 아니고, 빈 문자열도 아닌 경우 유효한 값을 확인하기 위한 예제text != null and text != '' ( O )-> text가 null이 아니고 빈 문자열도 아닌 경우 참(true)을 반환한.. 2024. 10. 28.
[Java] 18258 큐2_BAEKJOON 지난번에 푼 10845 큐에 이어 큐 복습문제처음 제출했을 때 Scanner를 사용했더니 시간초과가 떠서 BufferedReader, BufferedWriter를 사용해 다시 풀었다. 문제 * 시작하기 전에 Queue FIFO (First-In First-Out구조) : 처음에 저장한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내는 자료 구조Queue는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실제 구현체는 LinkedList를 선언해줘야 함. Queueadd : 데이터 추가. 저장공간이 부족하면 IllegalStateException 에러 발생offer : 데이터 추가. 값 추가 실패 시 false 반환remove : 큐의 맨 앞에 있는 값 반환 후 삭제. 큐가 비어있는 경우 NoSuchElementException에러 발생poll : 큐 맨.. 2024. 1. 20.
[Java] 1764. 듣보잡_BAEKJOON 듣보잡이라는 문제 이름을 보고 호기심이 생겨 풀어보았다.BufferedReader와 BufferedWriter를 사용하여 문제를 풀었는데도 시간초과가 나와서해결 방법을 알아보다가 HashSet과 TreeSet이라는 개념을 알게 되었다. HashSet : 중복된 값을 허용하지 않는 자료구조.듣도 못한 사람들의 이름을 저장하기 위해서 HashSet을 사용한다. N번 반복해서 이름을 받고 HashSet에 추가한다. TreeSet : 정렬된 순서로 값을 저장하는 자료구조.commomSet에 듣도 못한 사람과 보도 못한 사람이 겹치는 경우 해당 이름을 추가한다. commonSet을 toArray메소드를 이용해 배열로 반환한다.* toArray : 컬렉션을 배열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메드. java에서 컬렉션은 동.. 2024. 1. 19.
반응형